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하늘을 나는 드론으로 배달 음식을 받고 택배를 배송하는 시대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안전이나 소음,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가 여전합니다.<br><br>세계를 보다, 서주희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작은 상자를 매단 드론이 공중에 떠 있습니다. <br> <br>여성이 상자를 잡으려 손을 뻗는 순간 드론이 돌진하고, <br> <br>[현장음] <br>"으악“ <br> <br>드론이 여성이 머리에 충돌합니다.<br> <br>하늘에서 봉투 두개가 떨어지더니 음식이 바닥에 내동댕이 쳐집니다. <br><br>세계적으로 드론 배달을 상용화하는 나라가 늘면서 지난해까지 100만 건 이상 드론배송된 걸로 추산됩니다.<br> <br>미국에선 최대 유통기업인 아마존과 월마트가 드론 배송에 적극 뛰어들고 있고, 중국에서는 만리장성에서도 5분 만에 음료와 약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드론 배송이 발전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안전사고 등 부작용도 만만치 않습니다. <br> <br>지난 2월 인도에서는 음식 배달 드론이 주택에 떨어져 TV 안테나와 창문 등이 부서지는 사고가 났고, 2년 전 호주에서는 배달 드론이 전깃줄에 충돌해 불이 붙은 채로 추락했습니다. <br> <br>당시 약 2천 가구에 전기 공급이 끊겼습니다. <br><br>우리나라 층간소음 기준보다 높은 평균 47~61 데시벨 수준의 소음도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.<br> <br>[드론 배송 스타트업 업체] <br>"소음은 우리가 피드백을 받은 가장 큰 우려 사항 중 하나였습니다." <br><br>미국 버지니아 공대에서 1년 이상 드론 배달이 시행된 지역의 주민 820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드론 배달의 부정적 측면으로 소음이 가장 많이 꼽혔고, 사생활 침해, 안전 우려, 배송 실패 등도 언급됐습니다.<br> <br>미국에서는 지난 6월 자신을 감시한다고 생각해 배달 드론을 총으로 쏜 70대 남성이 총격과 재물손괴 등 혐의로 기소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데니스 윈 / 드론 총격 피의자] <br>"내가 잘 쐈거나, 아니면 (드론이) 가까이 있었겠지. 드론에 1000만원 정도 피해가 발생했다고 하더라고요" <br> <br>미국과 말레이시아에서는 교도소 수감자들에게 드론으로 마약을 전달하는 등 사건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우리 정부도 오는 2027년까지 드론 택배를 도입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><br>전문가들은 그 전까지 기술적,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. <br><br>[송용규 / 한국항공대 교수] <br>"고장이 발생했을 때 급히 추락하지 않고 빨리 보완해서 안전을 확보하면서 비행을 할 수 있는 방법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위해서 더 개발할 필요가 있고요." <br> <br>안전과 편의성 '두마리 토끼'를 잡기 위한 촘촘한 대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. <br><br>세계를 보다, 서주희입니다 <br> <br>영상취재 : 이기상 <br>영상편집 : 박형기<br /><br /><br />서주희 기자 juicy12@ichannela.com